도시농업 연구현황

도시농업 연구현황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도시텃밭 환경변화 평가 및 관리방법에 관한 연구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도시텃밭 환경변화 평가 및 관리방법에 관한 연구


○ 1세부과제명 : 도시텃밭의 자원 재활용 기술 개발

- 국내외 부산물 재활용 방법 및 국내외 기술동향, 국내 텃밭 실태조사하고 도시텃밭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 탐색 및 분석을 통해 텃밭용 12가지 작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텃밭 부산물 재활용을 위한 퇴비화 실시 및 조건 구명연구를 통해 소량의 텃밭부산물로 퇴비만들기로 만든 퇴비를 텃밭 밭갈이 작업시 토양혼화 후 20일무를 재배한 결과 퇴비무시용보다 생육이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도시텃밭의 부산물 재활용 매뉴얼 개발을 개발하였다.


○ 1협동과제명 : 도시텃밭의 토양관리기술 및 활용 컨텐츠 개발

- 도시텃밭의 토양환경 특성평가 : 토양 화학성은 작물별로 차이를 보여 소규모로 경작하는 도시 텃밭의 특성이 반영하며, 일반 농경지보다 화학성이 낮았다.

- 도시텃밭의 식물상조사 : 서울, 수원, 광주텃밭에서 24과 61종의 잡초가 출현하였고, 바랭이, 돌피, 쇠비름이 우점하였다.

- 도시텃밭의 병해충 조사 : 텃밭에서 재배되는 작물중 가지의 해충 발생량이 가장 많았다.

- 친환경 도시텃밭용 친환경농자재 제조 매뉴얼: 친환경농자재 12종 활용방법 소개하였다.

- 도시텃밭 활용 컨텐츠 개발 : 농작업 활동을 5개 유형으로 25 콘텐츠 구분하였다.

○ 2협동과제명 : 도시텃밭의 무생물적 환경변화 조사 및 토양 건전성 평가기술 개발

- 도시텃밭 토양질 평가 단계로 도시텃밭의 주요한 토양 화학적 지표를 도출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 지역 130개 도시농업 토양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질소, 유기물, EC, pH 4개 인자가 주요한 도시농업 토양의 화학적 지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발된 지표를 기준으로 도시농업 토양의 양분 건전성을 평가하였다. 62개소 130점 토양 시료 조사 결과 62%에 해당하는 81점의 시료가 토양 양분 측면에서 다소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시텃밭 토양질 주요지표 중 토양 pH가 가장 관리가 시급한 지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점수화된 도시텃밭의 토양 화학적 지표를 기반으로 토양환경 관리방안을 제시한다면 체계적이고 정량화된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3협동과제명 : 도시텃밭의 생물적 환경 변화 조사

- 유기농법과 관행농법에 따른 도시텃밭 토양의 생물학적 질(미생물 활성도 및 군집특성, 효소활성, 기초호흡량) 평가하였으며, 국내 도시텃밭 토양의 생물학적 질 개선을 위한 관리방안 제시하였다.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captcha
자동등록방지 숫자입력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8 2016_외부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PlantCommunicatio...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461
17 2016_대형 건물내 실내환경조절용 Biofiltration시...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429
16 2016_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도시농업 활동 적용방안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550
15 2015_도시녹화공간의 환경가치 평가 및 환경성능평...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345
14 2014_한국형 텃밭농원 유형별 모델개발 및 적용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447
13 2014_초등학교내 체험학습용 스쿨팜 연구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458
12 2014_자생 및 화훼식물의 환경개선 기능성 효과 구명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431
11 2014_인공지반의 녹화 및 옥상정원의 원예적 이용...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523
10 2014_식용꽃의 활용증진을 위한 기능성 분석 및 이...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529
9 2014_도시농업을 통한 농업소득 향상 현장실증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408
8 2014_그린타운조성을 위한 인공지반 녹화기술 개발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364
7 2014_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의 기능성 구명 및 가치평가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448
6 2014_고품질 보존화 소재생산 수익모델 현장 실증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506
5 2013_수질정화·경관조성을 위한 식재모델 및 현장...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329
4 2012_유아 및 청소년 원예프로그램과 지도자 교육...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445
3 2012_실내공간의 어메니티 증진을 위한 화훼장식기...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421
2 2012_IT를 활용한 생활 원예아이디어 상품개발에 ...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316
1 2009_팔레놉시스 소비 촉진을 위한 상품화 기술에 ...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397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