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업 연구현황

도시농업 연구현황

도시 옥외 공간 정원 식물의 식재적합도 평가 기술 개발

도시 옥외 공간 정원 식물의 식재적합도 평가 기술 개발


○ 주요 정원식물의 공간조건별 생장모델 정보화 기술 개발

○ 주요 정원 초본의 환경 조건별 비파괴 스트레스 지표 개발

○ 유효일조지표를 통한 식재적합도 평가 프로세스 개발

○ 식재적합도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 조도별 주요 정원식물 생장 특성 시계열 분석

○ 주요 정원식물의 생장 모델링 정보 구축

○ 비파괴적 방법에 의한 일조 조건별 식물 스트레스 지표 분석

○ 주요 정원 식물의 일조스트레스지수(SFI) 개발

○ 식재적합도 평가 기법 확립을 위한 현장 측정 프로세스 개발

○ 일조환경을 고려한 최적 식재 선정을 위한 유효일조지표(ESI) 개발

○ 공동주택 생태환경의 정성적 평가를 위한 조경설계도구의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17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일조분석 기법을 활용한 정원 식재 설계 시스템

(특허등록 : 제 10-1733955호)

○ 생태적 건전성 제고를 위한 도시녹화 기술의 정량적 평가에 활용

○ 내재해성 지표계수 산정을 통한 원예작물의 선발 기준 제공

○ 정원 식물의 광화학적 생리지표는 식재 적합성 결정의 판단 근거로 활용

○ 식재 후 파괴적 방법의 도입이 어려우므로 사후 관리 측면에서도 비파괴 생리지표를 통한 관리 방법의 활용 가능

○ 일조스트레스지표 산정을 통한 정원관리 매뉴얼 과학적 근거제시

○ 도시 녹화 산업의 증대와 도시 열섬 현상 감소

○ 도시 조경 디자인에 표준 도구로써 이용

○ 기초 연구 성과물 기반으로 수종별 생육 환경을 고려한 식재설계 가능

○ 식재적합도를 고려한 조경설계로 부적합 식재로 인한 시공 하자, 유지 관리 비용 절감 효과 기대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captcha
자동등록방지 숫자입력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8 2016_외부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PlantCommunicatio...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462
17 2016_대형 건물내 실내환경조절용 Biofiltration시...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430
16 2016_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도시농업 활동 적용방안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553
15 2015_도시녹화공간의 환경가치 평가 및 환경성능평...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346
14 2014_한국형 텃밭농원 유형별 모델개발 및 적용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447
13 2014_초등학교내 체험학습용 스쿨팜 연구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459
12 2014_자생 및 화훼식물의 환경개선 기능성 효과 구명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433
11 2014_인공지반의 녹화 및 옥상정원의 원예적 이용...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525
10 2014_식용꽃의 활용증진을 위한 기능성 분석 및 이...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531
9 2014_도시농업을 통한 농업소득 향상 현장실증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410
8 2014_그린타운조성을 위한 인공지반 녹화기술 개발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364
7 2014_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의 기능성 구명 및 가치평가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449
6 2014_고품질 보존화 소재생산 수익모델 현장 실증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507
5 2013_수질정화·경관조성을 위한 식재모델 및 현장...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330
4 2012_유아 및 청소년 원예프로그램과 지도자 교육...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447
3 2012_실내공간의 어메니티 증진을 위한 화훼장식기...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423
2 2012_IT를 활용한 생활 원예아이디어 상품개발에 ...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316
1 2009_팔레놉시스 소비 촉진을 위한 상품화 기술에 ... 한국도시농업연구회 2021-09-16 399
▲ 위로